top of page

연구개발사업

국제학술대회 

(1) 일가복민운동의 재창조 : 아시아-아프리카에서의 빈곤퇴치 국제회의

나라와 민족을 위해 평생을 헌신하신 일가 김용기 선생의 사상을 계승하고 세계화를 구현하기 위한 글로벌 빈곤퇴치 사업의 경과와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려는 취지 하에, (재)일가재단에서 주최하고 국경없는교육가회에서 주관한 <일가 복민운동의 재창조 ‘아시아•아프리카에서의 빈곤퇴치’>(Reinventing Ilga’s Bokmin Movement ‘poverty Reduction in Asia&Africa’)가 2014년 5월 23일에 서울대학교 교수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필리핀 가나안농군학교 이관수 교장과 프놈펜 국제대학교의 노광래 교수가 각각 필리핀과 캄보디아에서의 빈곤퇴치 사업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어 다비육종의 이일주 부장이 한국 양돈 전문가 양성과정을 베트남으로 보급한 사례에 대해 발표를 한 후 토론에서는 연세대의 김왕배 교수와 지구촌나눔운동의 조현주 사무총장이 발표의 내용을 정리하여 함께 나누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APENF(Association for the Promotion of Non-formal Education)의 사무총장인 Germaine Ouedraogo가 ‘부르키나파소의 마을에 울린 가나안 개척’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KOA-AFRICA의 박상영 사장이 케냐에서의 개발협력 사례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EWB의 박수정 팀장이 EWB의 아프리카 빈곤퇴치 사업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토론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박환보 박사와 순천대학교 친환경축산사업단의 정일병 교수가 발표 내용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EWB의 7년 동안의 활동 영상과 함께 다같이 빈곤퇴치와 국제협력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본 국제회의를 통해 글로벌 빈곤퇴치 사업에 대해 서로 공유할 수 있었으며,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가들은 서로간의 교류를 통해 개발협력에 대한 역량을 크게 발전시킬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제 2회 EWB 국제학술대회


Gender Equity in Education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국경없는 교육가회 5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가 2012년 6월 8일 금요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국경없는교육가회(EWB)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글로벌교육협력전공이 공동으로 ‘제 2회 국제학술대회 성평등과 교육: 성과와 과제 (The 2nd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nder Equity in Education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라는 주제로 행사를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내외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 외 여성학 전문가들이 학술대회를 통해서 국제사회에서의 교육개발협력분야에서의 양성평등 (Gender Equity)에 대한 주요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양성평등 이슈에 관한 비판적이고 생산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본 학술대회는 3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세션은 아프리카 여성 교육가 포럼(Forum for African Women Educationalists: FAWE) Oley Dibba Wadda 사무총장의 ‘교육에서의 양성평등: 도전과제와 새로운 비전(Gender Equity in Education: Challenging Issues and New Vision)’에 대한 발표로 시작되어, APENF(Association for the Promotion of Non-formal Educagtion)의 사무국장인 Germaine Ouedraogo의 부르키나 파소의 젠더와 교육: 5개 지역의 사례(Gender and Education in Burkina Faso: Case of 5 Regions)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두 번째 세션은 베트남의 베트남 국립 대학교의 Lam Quang Dong 교수와 라오스 교육부의 Souksavanh Phonetheva의 자국의 교육과 양성평등에 관한 현 상황과 과제에 대한 발표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지막 세션은 UNDP 방글라데시 사무소의 곽숙희 박사와 Shahana Siddiqui가 방글라데시에서의 MDGs, 젠더와 교육(MDGs and Gender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Bangladesh)이라는 주제로 방글라데시에서 UNDP가 추진하고 있는 MDGs 달성을 위한 다양한 여성역량강화 사업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 글로벌교육협력전공의 이지향 박사과정생이 1970, 80년대 한국에서의 고등교육 확대와 양성 불평등(Tertiary Education Expansion and Gender Inequality in Korea in the 1970s and 1980s)라는 주제로 2-30년 전 한국의 여성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명하였습니다. 

본 학술대회에서는 개발협력 분야 내의 양성평등 (Gender Equity) 과 교육에 관한 각국의 주요 흐름을 공유하고, 학문적 이슈에 대한 전문가 간의 심도 깊은 토론을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국내외 글로벌교육개발협력 전문가들과 여성학 전문가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향후 공동연구와 상호협력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ADEA Triennale : Korea-Africa Day

 

 

ADEA 2012 트리에날의 일환으로 2월 12일(한국시간 2월 13일) 한-아프리카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국경없는교육가회는 ADEA측의 요청으로 한국의 ADEA 특별대표로서 한-아프리카의 날 행사를 주관했습니다. 그 밖에도 교육과학기술부(MEST), 한국교육개발원(KEDI),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유네스코한국위원회(KNCU), 평생교육진흥원(NILE),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한국을 대표했습니다. 국경없는교육가회(EWB) 김기석 공동대표는 한-아프리카의 날이 추진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Why Korea(왜 한국이 교육발전경험을 아프리카와 공유하는 것이 의미 있는가?)에 대한 답을 제시했습니다. 한국전쟁 직후 한국의 모습과 현재 아프리카의 모습을 비교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아프리카의 성장(Rising Africa)을 소개하면서 아프리카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전한 것입니다. 이어 교육과학기술부 이상진 차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아프리카와 한국의 동반번영을 위해 교육 및 과학기술 개발전략과 정책에 도움이 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이 논의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한-아프리카의 날 행사는 트리에날의 주제와 연관된 한국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아프리카 국가들과 함께 한국의 교육발전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함. 구체적으로 1) 평생교육과 지역사회학습, 2) 과학기술과 고등교육, 3) 직업기술교육훈련(TVET)과 디지털 학습과 같이 크게 3가지의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한국의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관련 연구기관들은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현재와 미래의 발전과 협력 방안을 세부적으로 논의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ADEA가 추천한 아프리카의 교육전문가들이 한국의 교육발전 경험을 아프리카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한-아프리카의 날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은 끝없는 질문으로 이어져 질문을 다 받을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이 열기는 지속되어 ADEA 트리에날 강연에서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이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번 한-아프리카의 날은 한국이 한다면 아프리카도 할 수 있다는 용기와 의지를 북돋아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의 경험을 함께 나눔으로써 과거의 한국과 유사한 고민을 갖고 있는 많은 아프리카 국가와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되었습니다. 

(4) 국제학술대회 ICER-IEDF

 

국경없는교육가회가 주관한 제 12회 국제교육연구회의(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ducation Research: 이하 ICER-12)가 2011년 10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세계화의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교육협력: 비판적 평가'라는 주제 아래 개최되었습니다. ICER-12는 국내외 수준의 지속가능한 발전 분야에서 교육의 이론과 실천 사이의 비판적 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회의는 국제교육개발협력이 파트너 국가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양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끌어내었습니다. 

ICER-12와 함께, ADEA(The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트리에날레 2012: 한-아프리카의 날 예비 워크샵과 국제교육발전포럼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Forum: 이하 IEDF)가 개최되었습니다. 예비워크샵은 2012년 2월 12일에 부르키나 파소에서 열릴 한-아프리카의 날 행사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개최되었습니다. BYLL-CATARIA AEDA사무총장을 포함하여 ADEA 트리에날 2012의 집행위원회가 이 예비 워크샵에 참여하고 발표에 대한 사전 자문과 피드백을 제공하였습니다. 한국의 ADEA 특별대표와 한-아프리카의 날을 주관하는 주체로서 국경없는교육가회는 GAPA(Global Alliances for Poverty Alleviation) in 부르키나 파소 프로젝트와 2012년 이후 한국과 아프리카 사이의 교육협력의 방향에 대한 기조강연을 맡았습니다.

IEDF는 한국과 일본의 5개 대학(와세다 대학교, 고베 대학, 나고야 대학, 히로시마 대학, 서울대)이 참여하는 국제교육개발협력에 관한 포럼입니다. 서울대 글로벌교육협력전공의 파트너 기관으로서 국경없는교육가회는 2010년부터 IEDF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ICER-12는 최신의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선도 연구기관과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들 사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연구역량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습니다.

(5) 글로벌교육개발협력에 대한 국제학술대회

 


사단법인 국경없는교육가회 주최, 서울대학교 글로벌교육협력학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서울대학교 연구처가 주관하는 국제학술대회가 10월 28일 오전 10시부터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렸습니다. 

"International Symposium on Glob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 SNU"라는 제목으로 국제교육개발 관련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Aid Effectiveness to Education in Selected Countries ",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ization"의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Aid Effectiveness to Education in Selected Countries의 주제에는 국경없는교육가회 사무처장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유성상 교수의 사회로, 필리핀 평생교육재단의 Edicio Gan DELA TORRE 이사장이 참석하여, 필리핀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하였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의 Ingemar GUSTAFSON 교수는 스웨덴의 원조공여의 경험을 주제로, 한국국제협력단의 안동원 이사는 과거 원조수여 국에서 원조공여 국으로 전환한 한국의 국제협력방안에 대해서 발표하였습니다. 

오후 2시부터는 같은 주제 아래,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이지향 연구원의 사회로, 와세다 대학의 Kazuo KURODA 교수가 일본의 원조공여 경험에 대해 발표함. 또한 국경없는교육가회의 김지연 팀장은 부르키나파소 극빈여성 자립지원사업에 대해, 박환보 전 팀장은 아프가니스탄 지역사회문화센터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의 이승환 원장이 토론을 맡아 진행하였습니다. 

 

4시부터 시작된 두 번째 세션에서는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ization의 주제로 발표가 이루어졌습니다. 서울대학교 Lynn ILON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본 세션에서는, 홍익대학교 이윤미 교수, 스웨덴 스톡홀룸 대학 Klas ROTH 교수, 미국 메디슨 위스콘신 대학 Michael OLNECK 명예교수가 관련 주제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본 학술대회는 글로벌교육개발 협력 분야의 최신 연구와 이슈를 공유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는 향후 한국 교육개발 협력의 연구역량 및 관련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본 학술대회를 통해 구축된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인적 네트워크와 정보네트워크 역시 향후 교육개발협력 연구와 사업을 촉진시킬 것입니다. 

(6) 국제 심포지움 : 아프리카 교육발전을 위한 국제 파트너십

 


2010년 1월 26일, '아프리카 교육발전을 위한 국제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ducation Development in Africa)'을 기치로 한 EWB 2010 국제회의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교 교수 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는 EWB의 GAPA(Global Alliance for Poverty Alleviation) in Burkina-Faso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부르키나파소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빈곤퇴치를 위한 교육발전 사업에 대하여 각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자 추진되었습니다.

회의를 위해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의 교육부 장관 Marie Odile BONKOUNGOU BALIMA, 아프리카 교육발전협회 ADEA(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의 사무총장인 A. BYLL-CATARIA, ADEA의 비형식교육 활동그룹 WGNFE(ADEA's Working Group on Non Formal Education)의 Boly Barry KOUMBA 박사, 잠비아의 보건부 전문가 Costantine MALAMA 등이 EWB의 초대로 방한하였습니다. 

기초강연은 한 아프리카 교육 협력의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로 국경없는교육가회 공동대표 성경희 대표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주제강연은 아프리카의 빈곤퇴치를 위한 글로벌민간단체연대라는 주제아래 서울대학교 Lynn ILON 교수가 진행하였습니다. 

본 학술대회는 아프리카 글로벌교육개발 협력 분야의 전문가들과 현지의 고민과 이슈를 공유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이번 방한을 통해 한국 정부 및 교육 연구 분야 전문가들의 면담을 통해 한 아프리카 간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인적 네트워크와 정보네트워크가 촉진될 것을 기대합니다. 

(사단법인) 국경없는 교육가회 / T 02.885.6422 / F 02.889.0131 / 우)06177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30 총회회관 601호

ewb@ewb.or.kr / Copyright © 2014 EWB. All rights reserved.

 

EDUCATORS WITHOUT BORDERS IS NOT IN ANY WAY AFFILIATED WITH DOCTORS WITHOUT BORDERS.

DOCTORS WITHOUT BORDERS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BUREAU INTERNATIONAL DE MEDECINS SANS FRONTIERES. 

bottom of page